본 기사에서는 일본 진출을 계획하고 계시는 기업분들이라면 한번 쯤은 들어본 적이 있는 라쿠텐이랑 큐텐이 어디가 더 좋은지 차이점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!
먼저 규모를 알기 위해 유통총액, 유저수, 유저 주요연령층, 경재권을 소개합니다.
라쿠텐
큐텐
유통총액
6조엔 (2023년)
2,305억엔 (추측)
유저수
1억명이상
2000만명
주요연령층
20-40대 여성
10-30대 여성
경재권
라쿠텐 신용카드, 라쿠텐 모바일, 라쿠텐 금용, 라쿠텐 틀러벨, 라쿠텐 이글스
일부예시
없음
라쿠텐
유통총액
6조엔 (2023년)
유저수
1억명이상
주요연령층
20-40대 여성
경재권
라쿠텐 신용카드, 라쿠텐 모바일, 라쿠텐 금용, 라쿠텐 틀러벨, 라쿠텐 이글스
일부예시
큐텐
유통총액
2,305억엔 (추측)
유저수
2000만명
주요연령층
10-30대 여성
경재권
없음
위 표를 보면 규모는 라쿠텐이 압도적으로 큰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라쿠텐은 라쿠텐 포인트라고 해서 일본 국내 온/ 오프라인에서 (마트, 편의점, 음식점, 약국 등등 ) 적립과 사용이 가능한 포인트 제도가 있습니다. 라쿠텐 카드 (신용카드) 를 사용하고 있으면 자연스럽게 라쿠텐 포인트를 적립하기 위해 라쿠텐에서만 쇼핑을 하게 됩니다. 더불어 주요연령층이 구매력이 있는 층이 되어 재구매율이 높은 것이 라쿠텐의 큰 장점입니다.
다만, 라쿠텐은 큐모가 큰 만금 다 일본 브랜드, 한국 브랜드 등 경쟁이 되는 브랜드가 다수 입점 되어 있다는 점이 라쿠텐 단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한편 큐텐은 한국 제품이라고 하면 큐텐을 생각하는 정도로 한국브랜드가 많이 입점 되어 있습니다. 또한,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가 되어 있다는 인식도 강한 플랫폼이 되어 주요 영령층도 10-30대 여성이 됩니다. 한국 제품을 구매하고 싶은 사람은 첫번째로 방문하는 플랫폼이라고도 할 수 있어, 한국을 좋아하는 고객이 모이는 풀랫폼이 되어, 매출이 나올때까지는 비교적 빠른 것이 강점입니다.
다만, 큐텐은 1년에 4번 20% 할인이 되는 메가와리 (メガ割) 라는 행사가 있는데, 이 세일에서만 큐텐을 이용하는 사람도 많고, 연령층이 낮다보니 제구매율이 낮는 것이 큐텐의 단점으로 들 수 있습니다.
예를 들면, 라쿠텐은 자주 가는 마트 큐텐은 삼겹살데이에 고기가 크게 활인을 할때만 가는 마트 …? 인 것 같습니다.
두 플렛폼 단장점이 있어, 한 쪽의 장점만 보고 선택하지 마시고 긴 안목으로 보고 선택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!